기록공간

CSS 선택자 및 선언 방법 본문

FrontEnd/CSS

CSS 선택자 및 선언 방법

입코딩 2020. 11. 16. 09:23
반응형

CSS 선택자 구성 및 설정

   - 『*』 공용 선택자, 전체 선택자
      모든 엘리먼트를 선택한다.

   - 『E』 엘리먼트 선택자, 태그 선택자, 타입 선택자
      E 엘리먼트를 선택한다.

   - 『.』 클래스 선택자
      html 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iv.warning』과 같이 사용하면
      warning 이라는 클래스를 가지고 있는 div 엘리먼트를 선택하게 된다.

   - 『#』 아이디 선택자
      예를 들어, 『#myId』 와 같이 사용하면
      myId 를 아이디로 사용하는 엘리먼트를 선택하게 된다.

   - 『E>F』 자식 선택자, 후손 선택자
      E 엘리먼트의 바로 직접 하위에 있는(자식 엘리먼트인) F 엘리먼트를 선택하게 된다.

   - 『E F』 자손 선택자, 하위 선택자
      E 엘리먼트의 하위에 있는 F 엘리먼트를 선택하게 된다.
      이 경우, 특이한 점은 E와 F 사이에 다른 엘리먼트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선택 대상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 『E+F』 인접 선택자, 형제 자매 선택자
      E 와 F 가 서로 상하위 관계가 아닌, 인접해 있는 형제 자매 관계인 경우 선택하게 된다.

   - 『E:action』 동적 선택자, 가상 선택자, 반응 선택자, 상태 선택자
      사용자 액션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button:hover』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버튼 위에 마우스 커서가 머물게 되는 경우 선택하게 된다.

 

CSS 선언 방법

   - 외부 선언 (External)
     HTML Document 외부에 별도의 css 파일을 생성하여 내용을 구성한다.
     (→ 확장자 : 『.css』)
     이 css 를 적용할 문서에서는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css파일경로">』를 활용하여
     외부의 css 를 해당 문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문서 안에 포함하여 선언 (Embedded)
     HTML Document 내부에
     『<style type="text/css">
            선택자 {적용내용}
       </style>』     
     과 같이 기술하여 해당 문서에 스타일을 적용시킨다.

   - 엘리먼트에 직접 선언 (Direct)
     스타일을 적용할 태그(엘리먼트)에
     직접 『style="적용할 내용"』 형식으로 기술하여 처리한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