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렌더링 파이프라인
- 병행성 관련 오류
- 동적계획법
- directx
- 자료구조
- 프로그래머스
- OS
- 병행성
- 멀티프로세서
- 멀티쓰레드
- DirectX12
- 타입 객체
- 그리디 알고리즘
- 운영체제
- codility
- 알고리즘
- DirectX 12
- I/O장치
- 컨디션 변수
- 락
- 쓰레드
- 디자인패턴
- 영속성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백준
- 파일시스템 구현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스케줄링
- 그리디알고리즘
- Direct12
- Today
- Total
기록공간
[리눅스 마스터 1급] 제1901회 2차 실기 해설 정리 본문
단답형
# crontab
정의 :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수행할 작업을 예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주요 옵션
- file : 특정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내용을 크론 설정 파일에 반영
- -u user : crontab을 열람하고 수정할 수 있는 사용자를 지정
- -l : 현재 crontab 설정을 표시
- -r : 현재 crontab 설정을 제거
- -e : crontab 설정 편집
# ldd
정의 : 지정한 프로그램의 의존성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 gcc
정의 : GNU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는 컴파일러이다.
주요 옵션
- -o : 컴파일할 때 기본 이름 대신 실행 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
- -c : 지정한 소스코드를 컴파일하여 목적 파일(.o)을 생성
- 이때 목적 파일을 하나로 합치는 링크는 수행하지 않는다.
- -std : 컴파일할 언어의 버전을 선택
- 예를 들어 -std=c11이라고 하면 C언어 11 버전으로 컴파일을 수행한다.
# modprobe
정의 : 모듈의 의존성을 고려하여 모듈을 커널에 로드하거나 언로드한다.
주요 옵션
- -l, --list : 로드 가능한 모듈의 리스트를 출력
- -r, --remove : 모듈을 제거
- 의존성이 있는 모듈이 존재하고 참조가 없다면 이 모듈들도 자동으로 언로드한다.
- 여러 모듈을 지정할 수도 있다.
- -c, --showconfig : 모듈 관련 환경설정 파일의 내용을 모두 출력
작업식
# 아파치 웹 서버 환경설정 (ErrorDocument)
정의 : 오류 처리 방식을 등록할 수 있는 키워드.
HTTP 4xx 상태코드
- 400(Bad Request) : 클라이언트 요청이 잘못됨. 문법 오류
- 401(Unauthorized) : 요청에 대한 권한이 부족. 인증 실패
- 402(Payment Required) : 결재가 필요한 요청.
- 403(Forbidden) : 리소스에 대한 권한이 없음. 인가 실패
- 404(Not Found) : 존재하지 않은 리소스 요청.
# NIS 서버 관련 명령어
ypwhich : NIS를 이용하여 로그인한 후 인증에 사용한 NIS 서버를 조회.
-m 옵션을 사용하여 NIS 서버의 맵 정보를 출력한다.
ypcat : NIS 서버의 구성 파일(맵 파일)의 내용을 확인
yppasswd : NIS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비밀 번호를 변경
# NFS 관련 명령어
exportfs : NFS 서버의 export된 디렉터리 정보, 즉 공유 목록을 관리하는 명령어
exportfs 형식 : 'exportfs [옵션][호스트명]'
showmount : NFC 클라이언트에서 NFS 서버의 익스포트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
showmount 형식 : 'showmount [옵션][호스트명]'
rpcinfo : 메모리에 로딘된 RPC 기반 서비스 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
nfsstat : NFS 및 RPC 연결에 대한 통계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어
# 삼바 서버 환경설정
환경설정 파일 위치 : /etc/samba/smb.conf
주요 설정 키워드
- netbios name : 접속 시 사용할 이름을 지정
- workgroup : 공유 그룹명을 지정
- server string : 서버에 대한 설명을 지정
- hosts allow : 삼바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호스트 지정 (로컬호스트는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접근 가능)
# virtusertable
환경설정 파일 위치 : /etc/mail/virtusertable
사용 예 : 'makemap hash /etc/mail/virtusertable < /etc/mail/virtusertable'
(변경사항 /etc/mail/virtusertable.db에 적용)
# TCP Wrapper
정의 : 네트워크 접근 제어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설정 파일 : /etc/hosts.allow(접근허가 설정), /etc/hosts.deny(접근거부 설정)
모든 서비스 지정 : 'ALL:'
텔넷 서비스 지정 : 'in.telnetd'
ssh 서비스 지정 : 'sshd'
'자격증공부 > 리눅스마스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마스터 1급] 2차 실기 정리 - iptables(방화벽 설정) (0) | 2021.11.11 |
---|---|
[리눅스 마스터 1급] 제 1902회 2차 실기 해설 정리 (0) | 2021.11.09 |
[리눅스 마스터 1급] 제1802회 2차 실기 해설 정리 (0) | 2021.11.05 |
[리눅스 마스터 1급] 제1801회 2차 실기 해설 정리 (0) | 2021.11.03 |
[리눅스 마스터 1급] 최신 기출문제 제1802회 오답노트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