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타입 객체
- 스케줄링
- I/O장치
- 알고리즘
- 멀티프로세서
- 병행성
- 렌더링 파이프라인
- 그리디알고리즘
- 쓰레드
- 그리디 알고리즘
- 자료구조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백준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DirectX12
- OS
- 파일시스템 구현
- 동적계획법
- 락
- DirectX 12
- 운영체제
- codility
- 컨디션 변수
- 병행성 관련 오류
- 멀티쓰레드
- 프로그래머스
- Direct12
- 디자인패턴
- 영속성
- directx
- Today
- Total
기록공간
5-2-12장. 회복 / 병행제어 - B 본문
회복(Recovery)
회복은 트랜잭션들을 수행하는 도중 장애가 발생하여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되었을 때 손사오디기 이전의 정상 상태로 복구하는 작업이다.
-
장애의 유형
-
트랜잭션 장애 : 입력 오류, 불명확한 데이터, 시스템 자원 요구 과다 등 내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프로그램 실행이 중지되는 현상
-
시스템 장애 : 하드웨어 오동작, SW 손상, 교착상태 등에 의해 모든 트랜잭션의 연속적인 장애를 주는 현상
-
미디어 장애 : 디스크 블로그이 손상, 충돌 등에 의해 데이터베이스가 물리적으로 손상된 상태
-
-
회복 관리기
-
DBMS 구성 요소
-
트랜잭션 실행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트랜잭션이 데이터 베이스에 생성했던 모든 변화를 취소 시키고, 트랜잭션 수행 이전의 원래 상태로 복구하는 역할을 담당
-
메모리 덤프, 로그를 이용해 회복 수행
-
병행제어(Concurrency Control)
병행제어랑 다중 프로그램의 이점을 활용해 동시에 여러 개의 트랜잭션을 병행수행할 때,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파괴하지 않도록 트랜잭션 간의 상호 작용을 제어하는 것이다.
-
병행제어 목적
-
데이터베이스 공유 최대화
-
시스템 활용도 최대화
-
데이터베이스 일관성 유지
-
사용자 응답 시간 최소화
-
병행수행의 문제점
-
갱신 분실(Lost Update) : 두 개 이상의 트랜잭션이 같은 자료를 공유하여 갱신할 때 갱신 결과의 일부가 없어지는 현상
-
비완료 의존성(Uncommitted Dependency) : 하나의 트랜잭션 수행이 실패한 후 회복되기 전에 다른 트랜잭션이 실패한 갱신 결과를 참조하는 현상
-
모순성(Inconsistency) : 두 개의 트랜잭션이 병행수행될 때 원치 않는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
-
연쇄 복귀(Cascading Rollback) : 병행수행되던 트랜잭션들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생겨 Rollback 하는 경우 다른 트랜잭션들도 함께 Rollback 되는 현상
'자격증공부 > 정보처리기사_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3-1장. Secure SDLC - A (0) | 2020.09.22 |
---|---|
5-2-13장. 데이터 표준화 - A (0) | 2020.09.21 |
5-2-11장. DB 관련 신기술 - A (0) | 2020.09.21 |
5-2-10장. Secure OS - B (0) | 2020.09.21 |
5-2-9장. HW 관련 신기술 - A (0) | 202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