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I/O장치
- 영속성
- DirectX12
- 자료구조
- 그리디 알고리즘
- 그리디알고리즘
- 병행성 관련 오류
- 멀티프로세서
- 동적계획법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 codility
- 백준
- 병행성
- 운영체제
- 프로그래머스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Direct12
- 렌더링 파이프라인
- directx
- 쓰레드
- 컨디션 변수
- 타입 객체
- 멀티쓰레드
- 스케줄링
- OS
- DirectX 12
- 파일시스템 구현
- 디자인패턴
- 락
- Today
- Total
목록자격증공부/리눅스마스터 (14)
기록공간
단답식 # cron을 이용한 프로세스 스케줄링 * cron은 미리 정한 시간에 명령어, 프로그램, 작업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 cron 설정 파일에 cron 작업을 정의할 수 있다. 총 7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minute(0-59) hour(0-23) day of month(1-31) month(1-12) day of week(0-6) ----------------- -------------- -------------------------- ----------------- ---------------------- * * * * * [user-name] [command to be executed] # 커널 모듈 관련 * uname :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로 '-r' 또는 '-..
단답형 # crontab 정의 :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수행할 작업을 예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주요 옵션 file : 특정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내용을 크론 설정 파일에 반영 -u user : crontab을 열람하고 수정할 수 있는 사용자를 지정 -l : 현재 crontab 설정을 표시 -r : 현재 crontab 설정을 제거 -e : crontab 설정 편집 # ldd 정의 : 지정한 프로그램의 의존성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 gcc 정의 : GNU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는 컴파일러이다. 주요 옵션 -o : 컴파일할 때 기본 이름 대신 실행 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 -c : 지정한 소스코드를 컴파일하여 목적 파일(.o)을 생성 이때 목적 파일을 하나로 합치는 링..
단답식 # 사용자 환경설정 /etc/login.defs : 사용자 계정의 속성 설정을 위한 기본값 정의 /etc/login.defs 주요 설정 MAIL_DIR : 기본 메일 디렉터리 PASS_MAX_DAYS : 패스워드 최대 사용일 PASS_MIN_DAY : 패스워드 최소 사용일 PASS_WARN_AGE : 패스워드 만료 경고일 PASS_MIN_LEN : 패스워드 최소 길이 UID_MIN, UID_MAX : 사용자 계정의 UID 범위 GID_MIN, GID_MAX : 사용자 계정의 GID 범위 CREATE_HOME : 홈 디렉터리의 생성 여부 UMASK : umask 기본값 설정 USERGROUPS_ENAB : 사용자 계정 삭제 시 그룹 삭제 여부 결정 ENCRYPT_METHOD : 암호화 기법 USER..
단답식 # chage 정의: 사용자 패스워드의 만료일을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어 형식: chage [옵션] [사용자 계정] 주요 옵션 -d : 패스워드 변경일을 지정 -E : 사용자 계정 만료일을 지정 -I : 패스워드 유효기간 종료 후 계정이 비활성화 될 일수(day)를 지정 만약 10으로 설정했다면 만료일부터 10일간 새로운 암호 입력 메시지가 표시되고 10일이 지나면 계정이 만료된다. -m :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는 최소일수 지정 -M : 패스워드 변경일 이후 패스워드 유효일수 지정 -W : 패스워드 만료 기간 이전 며칠간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지 지정 -l [사용자] : 지정한 사용자의 패스워드 만기 정보를 출력 # quota 관련 명령어 정의 : 디스크 쿼터를 설정하여 사용자들의 디스크 용량..
PART1 (1~20) #2 * 라이브러리 : 공통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별도의 모듈로 만들어 사용하므로 중복을 최소화한다. (디스크 공간의 효율성) * 가상 메모리 : 물리적 메모리의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상의 메모리를 할당한 후, 이를 실제 물리 메모리의 주소와 매핑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프로그램은 가상 메모리 기법을 이용하여 고유의 메모리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독립적인 실행 및 메인 메모리 공간의 효율성) #3 Vector Linux는 슬렉웨어 계열에 속하는 리눅스 운영체제이다. Scientific, Oracle Linux는 레드햇 계열에 속하는 리눅스 운영체제이다. #6 * $# : 스크립트에 전달되는 인자들의 개수를 담고 있다. * $0 : 실행한 스크립트의 전체 경로명..
PART 1 (1~20) #1 * 페이징 : 고정 크기의 블록인 페이지(Page)로 분할하여 가상메모리를 관리하는 기법 * 스왑 : 메모리 공간이 가득 차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없게 된 경우, 실행할 수 있도록 예비 공간 역할을 하는 영역. 예비 공간은 하드 디스크에서 차지 * 루틴 : 일반적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소스코드 모듈을 의미 * 링크 : 개발자가 작성한 모듈과 시스템 라이브러리 등을 함께 결합하여 최종 실행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과정 #2 * 미고(MeeGo) : 노키아, 인텔, 리눅스 재단이 공동으로 개발한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로 물리 버튼 없이 터치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 * 바다 OS : 삼성전자의 주도로 개발한 Nucleus RTOS 혹은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