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영속성
- 백준
- DirectX 12
- codility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렌더링 파이프라인
- 쓰레드
- 파일시스템 구현
- 디자인패턴
- OS
- 자료구조
- 프로그래머스
- DirectX12
- 알고리즘
- 타입 객체
- 그리디알고리즘
- 운영체제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락
- 병행성 관련 오류
- I/O장치
- 멀티쓰레드
- Direct12
- 컨디션 변수
- 그리디 알고리즘
- 병행성
- 동적계획법
- directx
- 멀티프로세서
- 스케줄링
- Today
- Total
목록자격증공부 (192)
기록공간
개요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는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이 갖는 인터페이스 목록과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데이터 명세를 정의한 문서이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과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로 구성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는 인터페이스 송수신 방법과 인터페이스 송수신 데이터 명세화 과정에서 작성한 산출물을 기반으로 작성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작성한 후에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에 있는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 내용과 비교하여 누락되거나 보완이 필요한 경우 내용을 수정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는 내외부 모듈 간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과 각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 작성 시스템 인..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의 개념 인터페이스 방법 명세화는 내 · 외부 시스템이 연계하여 작동할 때 인터페이스별 송 · 수신방법, 송 · 수신 데이터,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에 대한 내용을 문서로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이다. 시스템 연계 기술 시스템 연계 기술은 개발할 시스템과 내 · 외부 시스템을 연계할 때 사용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주요 시스템 연계 기술에는 DB Link, API/Open API, 연계 솔루션, Socket, Web Service 등이 있다. DB Link : DB에서 제공하는 DB Link 객체를 이용하는 방법 API/Open API : 송신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DB)에서 데이터를 읽어 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다. 연계 솔루션 : EAI 서버와 송 ·..
식별 대상 데이터 식별 대상 데이터는 송 ·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로, 규격화된 표준 형식에 따라 전송된다. 교환되는 데이터의 종류에는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 송 · 수신 데이터 항목, 공통 코드가 있다.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은 송 · 수신 시스템을 연계하는데 표준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은 시스템 공통부와 거래 공통부로 나뉜다. 송 · 수신 데이터 항목 송 · 수신 데이터 항목은 시스템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데이터이다. 전송되는 데이터 항목과 순서는 인터페이스별로 다르다. 공통 코드 공통 코드는 시스템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코드이다. 연계 시스템이나 연계 소프트웨어에서 사용하는 상태 및 오류 코드 등과 같은 항목에 대해 코드값..
개발 시스템 식별 개발 시스템을 식별하는 것은 인터페이스 관련 자료들을 기반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상세 식별 정보를 정의하고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다. 내 · 외부 시스템 식별 내 · 외부 시스템을 식별하는 것은 인터페이스 관련 자료들을 기반으로 개발할 시스템과 연계할 내 · 외부 시스템들의 상세 식별 정보를 정의하고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다. 내 · 외부 시스템 환경 및 관리 주체 식별 내 · 외부 시스템 환경은 연계할 시스템 접속에 필요한 IP 또는 URL, Port 정보 등 시스템의 실제 운용 환경을 의미한다. 내 · 외부 시스템 관리 주체는 하드웨어를 실제적으로 관리하는 담당자를 의미한다. 인터페이스 관련 자료들을 기반으로 내 · 외부 시스템의 실제 운용 환경과 하드웨어 관리 주체를 확인한다...
요구사항 검증(Requirements Verification) 요구사항 검증은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구현 전에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이 요구사항 명세서에 정확하고 완전하게 기술되었는지 검토하고 개발 범위의 기준인 베이스라인을 설정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구현 중에 요구사항 명세서의 오류가 발견되어 이를 수정할 경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프로젝트에서 요구사항 검증은 매우 중요하다.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토 계획 수립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이 프로젝트 품질 관리 계획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토 계획을 수립한다. 검토 기준 및 방법 : 프로젝트의 규모와 참여 인력, 검토 기간 등을 고려하여 검토 기준 및 방법을 정한다. 참여자 :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이해관계자들을 파악하여 프로젝..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구성 시스템 인터페이스는 독립적으로 떨어져 있는 시스템들끼리 서로 연동하여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접속 방법이나 규칙을 의미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은 개발을 목표로 하는 시스템과 외부 시스템을 연동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기술한 것이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은 요구사항 명세서에서 요구사항을 기능적 요구사항과 비기능적 요구사항으로 분류하고 조직화하여 요구사항 명세를 구체화하고 이를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요구사항 분석은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분석 기법을 적절히 이용한다. 요구사항의 분해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수준으로 세분화한다. 요구사항 분석 시 누락된 요구사항이나 제한조건을 추가한다. 요구..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의 개요 디자인 패턴은 각 모듈의 세분화된 역할이나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와 같은 코드를 작성하는 수준의 세부적인 구현 방안을 설계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해결 방식 또는 예제를 의미한다. 디자인 패턴은 재사용할 수 있는 기본형 코드들이 포함되어 있다. 개발 과정 중에 문제가 발생하면 새로 해결책을 구성한는 것보다 문제에 해당하는 디자인 패턴을 참고하여 적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디자인 패턴은 한 패턴에 변형을 가하거나 특정 요구사항을 반영하면 유사한 형태의 다른 패턴으로 변화되는 특징이 있다. 디자인 패턴은 1995년 GoF(Gang of Four)라고 불리는 네 명의 컴퓨터 과학자가 처음으로 구체화 및 체계화 하였다. GoF의 디자인 패턴은 수많은 디..
코드(Code)의 개요 코드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분류, 조합 및 집계를 용이하게 하고, 특정 자료의 추출을 쉽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호이다. 코드는 정보를 신속, 정확,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코드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작성, 정보 처리의 효율과 처리된 정보의 가치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일반적인 코드의 예로 주민등록번호, 학번, 전화번호 등이 있다. 코드의 주요 기능 식별 기능 : 데이터 간의 성격에 따라 구분 가능 분류 기능 : 특정 기준이나 동일한 유형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그룹화 배열 기능 : 의미를 부여하여 나열할 수 있음 코드의 종류 순차 코드(Sequence Code) : 자료의 발생 순서, 크기 순서 등 일정 기준에 따라서 최초의 자료부터 차례로 일련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