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료구조
- 백준
- 렌더링 파이프라인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쓰레드
- DirectX 12
- 디자인패턴
- Direct12
- 동적계획법
- 운영체제
- directx
- 스케줄링
- codility
- 알고리즘
- 멀티프로세서
- OS
- 파일시스템 구현
- 락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그리디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 I/O장치
- 타입 객체
- 병행성 관련 오류
- DirectX12
- 그리디 알고리즘
- 병행성
- 영속성
- 컨디션 변수
- 멀티쓰레드
- Today
- Total
목록Algorithm (111)
기록공간

영역을 구하기 위해서는 BFS(너비 우선 탐색)를 사용해야 한다. https://lipcoder.tistory.com/entry/%EB%84%88%EB%B9%84-%EC%9A%B0%EC%84%A0-%ED%83%90%EC%83%89-BFS?category=843242 너비 우선 탐색 (BFS) 너비 우선 탐색 (Breadth Firest Search : BFS)은 그래프의 모든 정점들을 특정한 순서에 따라 방문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현재 정점과 인접한 모든 간선을 우선적으로 검사하며, 그 중 방문하지 �� lipcoder.tistory.com 특정 위치에서 시작하는 경우 현재 BFS를 이용해 양 방향으로 갈 수 없을 때까지 검사한다. 갈 수 없는 조건을 다음과 같다. -> 해당 색과 다른 색인 경우 ..

스킬 트리가 스킬 순서의 조건을 지키는지를 검사하는 문제였다. 스킬 순서가 CBD인 경우 스킬 트리에서 B 스킬을 찍기 위해서는 C가 먼저 나와야 한다. CBD는 순서만 지키면 되지 스킬 트리에서 해당 스킬들이 안 나와도 상관없다. 처음부터 검사를 하는 경우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살펴보자. 우선 첫 번째 스킬 나올때 까지 스킬 트리의 스킬들을 차례대로 검사한다. 만약 해당 스킬이 나왔다면 두 번째 스킬로 넘어가 나올 때까지 검사하면 된다. 스킬 트리에서 스킬이 안 나오더라도 상관없으므로 올바른 스킬 트리이다. 하지만, 해당 스킬 이후 번째 스킬이 스킬 트리에서 먼저 나온다면, 그것은 불가능한 스킬 트리이다. 코드는 다음과 같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

푸는 과정에서도 나와있듯 큐를 이용하는 문제였다. 종료과정은 모든 트럭이 다리를 건넜을 경우이다. 그리고 다리가 견딜 수 있는 무게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트럭이 줄지어서 다리를 건널 수 없다. 트럭이 다리를 건널때 견디는 무게를 넘어가면 그 트럭은 다른 트럭이 건널때 까지 기다리고 건너야한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다리를 건너는 트럭 정보(트럭무게, 건너는 시간)를 담을 큐 컨테이너 q, 현재 다리에 가해지는 무게를 담을 정수형 변수 w, 다리를 건넌 트럭을 담을 벡터 컨테이너 v를 선언한다. w와 다리를 건널 트럭의 무게를 더했을때 다리가 견디는 무게보다 적다면 q에 트럭 정보를 담는다. 만약 더 무겁다면 다리가 견딜 수 없으므로 그 트럭은 대기해야 한다. 현재 진행된 시간과 q의 가장 앞에 있는..

주어진 조건으로 깊이 우선 탐색을 응용하는 문제였다. 여기서 공항권은 a에서 b로 가는 것으로 그래프의 간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공항권은 모두 사용해야 한다. 즉 그래프에 존재하는 모든 간선들을 지나가야 한다는 뜻이다. (마치 한 붓 그리기와 같다) 다음은 예제 2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항상 인천공항에서 출발한다는 사실을 유의하자. 또한 경로가 위 그림처럼 여러개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ICN -> ATL -> SFO -> ATL -> ICN -> SFO ICN -> ATL -> ICN -> SFO -> ATL -> SFO ICN -> SFO -> ATL -> ICN -> ATL -> SFO 다음과 같이 경로가 여러 개인 경우 알파뱃 순서가 앞서는 경로가 먼저 나오도록 해야 한다. 모든 경로..

평균 시간이 가장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각 작업 소요시간 순으로 처리하면 된다. 여기에는 요청이 먼저 들어온 순서도 고려를 해줘야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이것이다. 이것을 놓치면 계속해서 실패가 나올 것이다. 하드디스크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먼저 요청이 들어온 작업부터 처리합니다. 현재 작업 시간에 들어온 작업 요청이 없다면 먼저 요청이 들어오는 작업의 시간대로 점프해야 한다. 이 공백 부분을 놓치면 이 문제는 항상 다른 결과를 반환할 것이다. 알고리즘 풀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요청 받은 작업들을 요청 시간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한다. 소요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최소 힙을 만든다. 현재 작업 시간 0부터 시작한다. 작업 요청 시간이 현재 작업 시간 내에 있다면 그 작업을 최소 ..

공급 받는 횟수가 최소가 되는 방법은 수량이 많은 순으로 공급 받으면 된다. 공급 받을 날짜가 되면 그 날짜의 밀가루 수량을 힙에 추가한다. (여기서 힙은 최대힙) 그리고 밀가루가 다 떨어 졌을때 힙에서 최대 수량의 밀가루를 꺼내어 공급받은 후 그 횟수를 올려주면 된다. 이 과정을 0번째 날 부터 k-1번째 날까지 반복한다면 밀가루 수량을 k날까지 맞출 수 있게된다. C++에서는 힙의 원리가 적용된 'STL priority_queue'를 제공하므로 이것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문제해결을 할 수 있다. 코드는 다음과 같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int stock, vector dates, vector supplies, int k) { in..

한 변의 길이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타일의 수가 어떻게 되는지 먼저 살펴봐야 한다. 1, 1, 2, 3, 5, 8, ... 규칙을 제대로 살펴보면 3번째 값부터 1번째 2번째 값을 합한 값이 나온다. 점화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D[i] = D[i - 2] + D[i - 1] (i >= 3) 타일의 수는 이전 값을 기반으로 하여 구하기 때문에 동적 계획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렇게 타일의 수들을 구했다면 타일 개수에 맞는 직사각형의 둘레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어떻게 구하면 될까? 위 문제에서는 5개의 타일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둘레를 구하는것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그림을 살펴보면 5개의 타일들 중 가장 나중과 그 이전 타일만 안다면 직사각형 각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모든 변의 길이를 ..

이진수로 변환하는 방법만 안다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이진수 변환에는 쉬프트 연산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9를 이진수로 변환한다고 하자. 9의 이진수는 1001이다. (전체 이진수 크기 - 1) 부터 시작한다. 9(1001) >> 3 --> 0001 (1번째 위치의 이진수 값은 1이다) 9(1001) >> 2 --> 0010 (2번째 위치의 이진수 값은 0이다) 다음과 같이, 쉬프트 연산()을 하면 맨 왼쪽 자리에 구하고자 하는 위치의 이진수의 값을 알 수 있게된다. 이 작업을 쉬프트 연산을 0으로 할때까지 반복하면 전체 이진수 값을 구할 수 있게된다. 여기서는 맵의 크기로 n이 주어지기 때문에 n크기에 맞는 이진수 값을 만들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n - 1부터 0까지 반복하며 쉬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