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S
- 렌더링 파이프라인
- Direct12
- 파일시스템 구현
- 쓰레드
- directx
- 그리디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 DirectX 12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병행성 관련 오류
- I/O장치
- 백준
- 그리디알고리즘
- 병행성
- DirectX12
- 자료구조
- 타입 객체
- 멀티프로세서
- 멀티쓰레드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영속성
- 동적계획법
- 스케줄링
- 락
- 디자인패턴
- codility
- 운영체제
- 컨디션 변수
-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00)
기록공간
프로토콜(Protocol)의 정의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이다.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표준 규칙과 절차의 집합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문서를 모두 규정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을 규정 의미(Semantics) :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 시간(Timing)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프로토콜의 기능 단편화와 재결합 송신 측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전송에 알맞은 일정 크기의 작은 블록으로 자르는 작업을 단편화(Fragmentation)라 하고, 수신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정보 전송 시 정보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정보 형태를 변경한다. 이더넷 카드(LAN 카드) 혹은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한다. 허브(Hub) 허브는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한다. 허브의 종류에는 더미 허브, 스위칭 허브가 있음 더미 허브(Dummy Hub) 네트워크에 흐르는 모든 데이터를 단순히 연결하는 기능만을 제공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컴퓨터 수만큼 나누어 제공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노드를 물리적인 성형 구조로 연결 스..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의 개요 OSI 참조 모델은 다른 시스템 간의 원할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Protocol)이다. 개방형 시스템 간의 데이터 통신 시 필요한 장비 및 처리 방법 등을 7단계로 표준화하여 규정 OSI 7계층은 1~3 계층을 하위 계층, 4~7 계층을 상위 계층이라고 함 하위 계층 : 물리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상위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응용 계층 OSI 참조 모델의 목적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개념을 규정 OSI 규격을 개발하기 위한 범위를 정함 관련 규정의 적합성을 조절하기 위한 공통적 기반을 제공 OSI 참조 모델에서의 ..

인터넷(Internet)의 개요 인터넷이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이다. 미 국방성의 ARPANET에서 시작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함 통신망과 컴퓨터가 있는 곳이라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 교환 가능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가 사용됨 다른 네트워크 또는 같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로, 보통 인터넷의 주가 되는 기간망을 일컫는 용어를 백본(Backbone)이라고 함 IP 주소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이다. 숫자로 8비트씩 4부분, 총..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개요 운영체제를 제어하는 방법은 크게 CLU와 GUI로 구분 CLI는 키보드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는 마우스로 아이콘이나 메뉴를 선택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indows & UNIX/LINUX 기본 명령어
환경 변수의 개요 환경 변수란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환경 변수는 변수명과 값으로 구성 환경 변수는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저장 환경 변수는 자식 프로세스에 상속 환경 변수는 시스템 전반에 걸쳐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 변수와 사용자 계정 내에서만 적용되는 사용자 환경 변수로 구분 Window 환경 변수 Windows에서 환경 변수를 명령어나 스크립트에서 사용하려면 변수명 앞뒤에 %를 입력해야 한다. UNIX / LINUX의 주요 환경 변수 UNIX나 LINUX에서 환경 변수를 명령어나 스크립트에서 사용하려면 변수명 앞에 $를 입력해야 한다.
스케줄링 개요 스케줄링은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실행될 때 필요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해당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완료될 때까지 프로세스는 여러 종류의 스케줄링 과정을 거치게 됨 스케줄링의 종류에는 장기 스케줄링, 중기 스케줄링, 단기 스케줄링이 있음 장기 스케줄링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의 자원을 차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하여 준비상태 큐로 보내는 작업을 의미함 작업 스케줄링, 상위 스케줄링이라고도 하며, 작업 스케줄러에 의해 수행 중기 스케줄링 어떤 프로세스들이 CPU를 할당받을 것인지 결정하는 작업을 의미 CPU를 할당받으려는 프로세스가 많을 경우 프로세스를 일시 보류시킨 후 활성화해서 일시적으로 부하를 조절 단기 스케줄링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위해 CPU를 ..

프로세스(Process)의 정의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처리기, CPU)에 의해 처리되는 사용자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즉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작업(Job), 태스크(Task)라고도 한다.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여러 형태로 정의할 수 있음 PCB를 가진 프로그램 실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실체로서, 디스패치가 가능한 단위 프로시저가 활동중인 것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지정된 결과를 얻기 위한 일련의 계통적 동작 목적 또는 결과에 따라 발생되는 사건들의 과정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 PCB(Process Control Block, 프로세스 제어 블록) PCB는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해 놓는 곳으로, Task Control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