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O장치
- codility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타입 객체
- 자료구조
- Direct12
- 그리디 알고리즘
- DirectX 12
- 멀티쓰레드
- 쓰레드
- 프로그래머스
- 백준
- 컨디션 변수
- 파일시스템 구현
- 렌더링 파이프라인
- 락
- 영속성
- 스케줄링
- 그리디알고리즘
- directx
- 운영체제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OS
- 동적계획법
- 병행성 관련 오류
- DirectX12
- 디자인패턴
- 알고리즘
- 멀티프로세서
- 병행성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00)
기록공간
기상기억장치를 구현할 때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페이지 크기 페이징 기법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을 페이지 단위로 나누게 되는데, 페이지의 크기에 따라 시스템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 페이지 크기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페이지 단편화가 감소되고, 한 개의 페이지를 주기억장치로 이동하는 시간이 줄어듬 불필요한 내용이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확률이 적으므로 효율적인 워킹 셋을 유지할 수 있음 Locality에 더 일치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억장치 효율이 높아짐 페이지 정보를 갖는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커지고, 매핑 속도가 늦어짐 디스크 접근 횟수가 많아져서 전체적인 입출력 시간은 늘어남 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페이지 정보를 갖는 페이지 맵 ..

가상기억장치의 개요 가상기억장치는 보조기억장치(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으로, 용량이 작은 주기억장치를 마치 큰 용량을 가진 것처럼 사용하는 기법이다.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작은 블록 단위로 나누어서 가상기억장치에 보관해 놓고, 프로그램 실행 시 요구되는 블록만 주기억장치에 불연속적으로 할당하여 처리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 주기억장치의 이용률과 다중 프로그래밍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음 가상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가상기억장치의 주소를 주기억장치의 주소로 바꾸는 주소 변환 작업이 필요함 블록 단위로 나누어 사용하므로 연속 할당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편화를 해결할 수 있음 가상기억장치의 일반적인 구현 방법에는 블록의 종류에 따라 페이징 ..

주기억장치 할당의 개념 주기억장치 할당 기법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실행시키기 위해 주기억장치에 어떻게 할당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며, 연속 할당 기법과 분산 할당 기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연속 할당 기법 :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연속으로 할당하는 기법으로, 단일 분할 할당 기법과 다중 분할 할당 기법이 있다. 단일 분할 할당 기법 : 오버레이, 스와핑 다중 분할 할당 기법 : 고정 분할 할당 기법, 동적 분할 할당 기법 분산 할당 기법 : 프로그램을 특정 단위의 조각으로 나누어 주기억장치 내에 분산하여 할당하는 기법으로, 페이징 기법과 세그먼테이션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단일 분할 할당 기법 단일 분할 할당 기법은 주기억장치를 운영체제 영역과 사용자 영역으로 나누어 한 순간에는 오직 한 명의 사용..

기억장치 계층 구조의 특징 기억장치는 레지스터, 캐시 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를 다음과 같이 계층 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계층 구조에서 상위의 기억장치일수록 접근 속도와 접근 시간이 빠르지만, 기억용량이 적고 고가임 주기억장치는 각기 자신의 주소를 갖는 워드 또는 바이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소를 이용하여 액세스할 수 있음 레지스터, 캐시 기억장치, 주기억장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CPU가 직접 액세스 할 수 있으나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직접 액세스할 수 없음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는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후 CPU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음 기억장치 관리 전략의 개요 기억장치의 관리 전략은 보조기억장치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적재시키는 시기, 적재 위치 등..

UNIX의 개요 및 특징 UNIX는 1960년대 벨 연구소, MIT, GE이 공동 개발한 운영체제이다.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을 위해 설계된 대화식 운영체제로, 소스가 공개된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이다. 대부분 C 언어로 작성되어 있어 이식성이 높으며 장치, 프로세스 간의 호환성이 높음 크기가 작고 이해하기가 쉬움 다중 사용자(Multi-User), 다중 작업(Multi-Tasking)을 지원 많은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하므로 네트워크 관리용 운영체제로 적합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가짐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용이 다양한 유틸리티 프로그램들이 존재 UNIX 시스템의 구성 커널(Kernel) UNIX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 컴퓨터가 부팅될 때 주 기억장치에 적재..
Windows의 개요 Windows는 1990년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사가 개발한 운영체제이다. 버전에는 95, 98, me, XP, Vista, 7, 8, 10 등이 있다. 주요 특징에는 GUI, 선점형 멀티태스킹, OLE, PnP 등이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는 키보드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마우스로 아이콘이나 메뉴를 선택하여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Windows는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GUI를 채용하였다. 선점형 멀티태스킹(Preemptive Multi-Tasking) 선점형 멀티태스킹은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멀티태스킹을 하면서 운영체제가 각 작업의 CPU 이용 시간을 제어하여 응..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정의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이다.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줌 운영체제의 목적 운영체제의 목적에는 처리능력 향상, 사용 가능도 향상, 신뢰도 향상, 반환 시간 단축 등이 있다. 처리 능력, 반환 시간, 사용 가능도, 신뢰도는 운영체제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됨 처리능력(Throughput) : 일정 시간 내에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 양 반환 시간(Turn Around Time) : 시스템의 작업을 의뢰한 시간..
List List는 순서가 있는 자료 구조이다. 순서가 있기 때문에 중복을 허용하며 차례대로 저장되는 성격이 배열과 유사하다. List 인터페이스는 그 자체에서 기능이 오버라이딩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그 하위 클래스인 Vector, ArrayList 등을 다운캐스팅하여 할당해줘야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List 인터페이스의 하위 클래스는 대부분의 메소드가 비슷하다. Vector 자바의 자료구조 기능을 제공하는 클래스들 중 가장 기본적인 클래스로 배열과 비슷하지만, 배열과 달리 다른 종류의 데이터형을 가진 데이터 요소를 가질 수 있으며, 데이터가 가득차면 자동으로 저장 영역을 확장시키게 된다. 또한, 객체 레퍼런스를 저장하기 때문에 JDK 1.5 이전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