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irectX 12
- OS
- 백준
- 병행성 관련 오류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멀티프로세서
- 파일시스템 구현
- codility
- 컨디션 변수
- 운영체제
- directx
- 쓰레드
- 자료구조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동적계획법
- 락
- 렌더링 파이프라인
- 그리디알고리즘
- 멀티쓰레드
- 영속성
- Direct12
- 병행성
- 그리디 알고리즘
- 알고리즘
- I/O장치
- 스케줄링
- 타입 객체
- 디자인패턴
- DirectX12
- 프로그래머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00)
기록공간
SQL 테스트의 개요 SQL 테스트는 SQL이 작성 의도에 맞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지 검증하는 과정이다. 단문 SQL은 SQL 코드를 직접 실행한 후 결과를 확인하는 것으로 간단히 테스트가 가능 절차형 SQL은 테스트 전에 생성을 통해 구문 오류(Syntax Error)나 참조 오류의 존재 여부를 확인 정상적으로 생성된 절차형 SQL은 디버깅을 통해 로직을 검증하고, 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 단문 SQL 테스트 단문 SQL 테스트는 DDL, DML, DCL이 포함되어 있는 SQL과 TCL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직접 실행하여 결과물을 확인한다. 실행 시 오류나 경고가 발생할 경우 메시지를 참조하여 문제를 해결 DESCRIBE 명령어를 이용하면 DDL로 작성된 테이블이나 뷰의 속성, 자료형, 옵션들을..
DBMS 접속의 개요 DBMS 접속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응용 시스템을 이용하여 DBMS에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응용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매개 변수를 전달받아 SQL을 실행하고 DBMS로부터 전달받은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 인터넷을 통해 구동되는 웹 응용 프로그램은 웹 응용 시스템을 통해 DBMS에 접근 웹 응용 시스템은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로 구성되며, 서비스 규모가 작은 경우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합하여 하나의 서버만으로 운용할 수 있음 사용자 웹서버 WAS DBMS DBMS 접속 기술 DBMS 접속 기술은 DBMS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API 또는 API의 사용을 편리하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 등을 의미한다. JDBC(Ja..

사용자 정의 함수의 개요 사용자 정의 함수는 프로시저와 유사하게 SQL을 사용하여 일련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처리하며, 종료 시 처리 결과를 단일값으로 반환하는 절차형 SQL이다. 사용자 정의 함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SELECT, INSERT, DELETE, UPDATE 등 DML문의 호출에 의해 실행 사용자 정의 함수는 예약어 RETURN을 통해 값을 반환하기 때문에 출력 파라미터가 없음 사용자 정의 함수는 INSERT, DELETE, UPDATE를 통한 테이블 조작은 할 수 없고 SELECT를 통한 조회만 할 수 있음 사용자 정의 함수는 프로시저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없음 사용자 정의 함수는 SUM(), AVG() 등의 내장 함수처럼 DML문에서 반환값을 활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 사용자 정의 ..

트리거의 개요 트리거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삽입(Insert), 갱신(Update), 삭제(Delete) 등의 이벤트(Event)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절차형 SQL이다. 트리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데이터 변경 및 무결성 유지, 로그 메시지 출력 등의 목적으로 사용됨 트리거의 구문에는 DCL을 사용할 수 없으며, DCL이 포함된 프로시저나 함수를 호출하는 경우에도 오류가 발생 트리거에 오류가 있는 경우 트리거가 처리하는 데이터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트리거를 생성할 때 세심한 주의가 필요 트리거의 구성 트리거는 선언, 이벤트, 시작, 종료로 구성되며, 시작과 종료 구문 사이에는 제어(CONTROL), SQL, 예외(EXCEPTION)가 포함된다. DECLARE :..

프로시저의 개요 프로시저란 절차형 SQL을 활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트랜잭션 언어로, 호출을 통해 실행되어 미리 저장해 놓은 SQL 작업을 수행한다. 프로시저를 만들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면 여러 프로그램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음 프로시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수행되기 때문에 스토어드(Stored) 프로시저라고도 불림 프로시저는 시스템의 일일 마감 작업, 일관(Batch) 작업 등에 주로 사용 프로시저 구성도 DECLARE : 프로시저의 명칭, 변수, 인수, 데이터 타입을 정의하는 선언부 BEGIN / END : 프로시저의 시작과 종료를 의미 CONTROL : 조건문 또는 반복문이 삽입되어 순차적으로 처리됨 SQL : DML, DCL이 삽입되어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회, 추가, 수정,..
JOIN의 개념 JOIN(조인)은 2개의 테이블에 대해 연관된 튜플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릴레이션을 반환한다. JOIN은 크게 INNER JOIN과 OUTER JOIN으로 구분 JOIN은 일반적으로 FROM절에 기술하지만, 릴레이션이 사용되는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음 INNER JOIN INNER JOIN은 일반적으로 EQUI JOIN과 NON_EQUI JOIN으로 구분된다. 조건이 없는 INNER JOIN을 수행하면 CROSS JOIN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 EQUI JOIN EQUI JOIN은 JOIN 대상 테이블에서 공통 속성을 기준으로 '='(equal) 비교에 의해 같은 값을 가지는 행을 연결하여 결과를 생성하는 JOIN 방법 EQUI JOIN에서 JOIN 초건이 '='일 때..

일반 형식 SELECT [PREDICATE] [테이블명.]속성명 [AS별칭][, [테이블명.]속성명, ...] [, 그룹함수(속성명) [AS 별칭]] [, Window함수 OVER (PARTITION BY 속성명1, 속성명2, ... ORDER BY 속성명3, 속성명4, ...)] FROM 테이블명[, 테이블명, ...] [WHERE 조건] [GROUP BY 속성명, 속성명, ...] [HAVING 조건] [ORDER BY 속성명 [ASC | DESC]]; SELECT 절 PREDICATE : 불러올 튜플 수를 제한할 명령어를 기술 ALL : 모든 튜플을 검색할 때 지정하는 것으로, 주로 생략 DISTINCT : 중복된 튜플이 있으면 그 중 첫 번째 한 개만 검색 DISTINCTROW : 중복된 튜플을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의 개념 DML은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이나 질의어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이다. DML은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DML의 유형 SELECT : 테이블에서 튜플을 검색 INSERT : 테이블에 새로운 튜플을 삽입 DELETE : 테이블에서 튜플을 삭제 UPDATE : 테이블에서 튜플의 내용을 갱신 삽입문(INSERT INTO~) 삽입문은 기본 테이블에 새로운 튜플을 삽입할 때 사용한다. 일반형식 INSERT INTO 테이블명([속성명1, 속성명2, ...]) VALUES (데이터1, 데이터2, ...); 대응하는 속성과 데이터는 개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