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odility
- 백준
- 락
- DirectX12
- 타입 객체
- 멀티프로세서
- DirectX 12
- 그리디 알고리즘
- 그리디알고리즘
- 렌더링 파이프라인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I/O장치
- 병행성 관련 오류
- directx
- 디자인패턴
- 병행성
- 스케줄링
- 자료구조
- 운영체제
- 영속성
- 파일시스템 구현
- 쓰레드
- 멀티쓰레드
- 동적계획법
- 컨디션 변수
- OS
- Direct12
- 프로그래머스
-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00)
기록공간

트랜잭션 정의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한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병행 제어 및 회복 작업 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로 사용 트랜잭션은 사용자가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 요구 시 시스템이 응답하기 위한 상태 변환 과정의 작업 단위로 사용 트랜잭션 특성 다음은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DBMS의 트랜젝션이 가져야 할 특성이다. Atomicity(원자성) 트랜잭션의 연산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도록 완료(Commit)되든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도록 복구(Rollback)되어야 함 트랜잭션 내의 모든 명령은 반드시 완벽히 수행되어야 하며, 모두가 완벽히 수행되..

테이블(Table) 테이블은 데이터베이스의 가장 기본적인 객체로 로우(Row, 행)와 컬럼(Column, 열)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데이터는 테이블에 저장 테이블은 논리 설계 단계의 개체에 대응하는 객체 DBMS 종류에 따라 테이블의 명칭과 기능 등은 약간씩 차이가 있음 테이블 종류에는 일반 테이블, 클러스터 인덱스 테이블, 파티셔닝 테이블, 외부 테이블, 임시 테이블 등이 있음 일반 테이블 일반 테이블은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DBMS에서 표준 테이블로 사용되는 테이블 형태이다. 테이블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로우(Row)위치는 속성 값에 상관없이 데이터가 저장되는 순서에 따라 결정 클러스터드 인덱스 테이블(Clustered Index Table) 클러스터드 인덱스 테이블은 기본키(Pri..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논리적 데이터베이스를 디스크 등의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기본적인 데이터 단위는 저장 레코드(Stored Record) 물리적 설계 단계에 꼭 포함되어야 할 것은 저장 레코드의 양식 설계, 레코드 집중(Record Clustering)의 분석 설계, 접근 경로 설계 등이 있음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여러 가지 타입의 저장 레코드 집합이라는 면에서 단순한 파일과 다름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성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 물리적 설계 시 고려 사항 인덱스 구조 레코드 크기 파일에 존재하는 레코드 개수 파일에 대한 트랜잭션의 갱신과 참조..
시스템 카탈로그(System Catalog)의 의미 시스템 카탈로그는 시스템 그 자체에 관련이 있는 다양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시스템 카탈로그 내의 각 테이블은 사용자를 포함하여 DBMS에서 지원하는 모든 데이터 객체에 대한 정의나 명세에 관한 정보를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테이블 카탈로그들이 생성되면 데이터 사전에 저장되기 때문에 좁은 의미로는 카탈로그를 데이터 사전이라고도 함 시스템 카탈로그 저장 정보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된 정보를 메타 데이터(Meta-Data)라고 한다. 메타 데이터의 유형 데이터 베이스 객체 정보 : 테이블, 인덱스, 뷰 등의 구조 및 통계 정보 사용자 정보 : 아이디, 패스워드, 접근 권한 등 테이블의 무결성 제약 조건 정보 : 기본키, 외래키..
반정규화의 개념 반정규화란 시스템의 성능 향상, 개발 및 운영의 편의성 등을 위해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을 통합, 중복, 분리하는 과정으로, 의도적으로 정규화 원칙을 위배하는 행위이다. 반정규화를 수행하면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고 관리 효율성을 증가하지만 데이터의 일관성 및 정합성이 저하될 수 있음 과도한 반정규화는 오히려 성능을 저하시킴 반정규화를 위해서는 사전에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우선으로 할지, 데이터베이스의 성능과 단순화를 우선으로 할지를 결정해야 함 반정규화 방법에는 테이블 통합, 테이블 분할, 중복 테이블 추가, 중복 속성 추가 등이 있음 테이블 통합 테이블 통합은 두 개의 테이블이 조인되는 경우가 많아 하나의 테이블로 합쳐 사용하는 것이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될 경우 수행한다. 두 개의 ..

정규화의 개요 정규화란 함수적 종속성 등의 종속성 이론을 이용하여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더 작은 속성의 세트로 쪼개어 바람직한 스키마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하나의 종속성이 하나의 릴레이션에 표현될 수 있도록 분해해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음 정규형에는 제1정규형, 제2정규형, 제3정규형, 제4정규형, 제5정규형이 있으며, 차수가 높아질수록 만족시켜야 할 제약 조건이 늘어남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 정규화는 논리적 처리 및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침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은 일관성, 정확성, 단순성, 비중복성, 안전성 등을 보장 정규화 수준이 높을수록 유연한 데이터 구축이 가능하고 데이터의 정확성이 높아지는 반면 물리적 접근이 복잡하고 너무 많은 조인으로 인해 조회 성능이 저하..

관계대수의 개요 관계대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이다. 관계대수는 릴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해 연산자와 연산규칙을 제공하는 언어로 피연산자가 릴레이션이고, 결과도 릴레이션이다. 질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산의 순서를 명시 관계대수에는 관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한 순수 관계 연사자와 수학적 집합 이론에서 사용하는 일반 집합 연산자가 있다. 순수 관계 연산자 : Select, Project, Join, Division 일반 집합 연산자 : UNION(합집합), INTERSECTION(교집합), DIFFERENCE(차집합), CARTESIAN PRODUCT(교차곱) Select Select는 ..

무결성의 개념 및 종류 무결성이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값과 그것이 표현하는 현실 세계의 실제 값이 일차하는 정확성을 의미한다. 무결성 제약 조건은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부정확한 자료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약 조건을 말한다. 무결성의 종류에는 개체 무결성, 도메인 무결성, 참조 무결성, 사용자 정의 무결성 등이 있다. 개체 무결성(Entity Integrity, 실체 무결성) 개체 무결성은 기본 테이블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떤 속성도 Null 값이나 중복값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정이다. 도메인 무결성(Domain Integrity, 영역 무결성) 도메인 무결성은 주어진 속성 값이 정의된 도메인에 속한 값이어야 한다는 규정이다. 참조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