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O장치
- codility
- DirectX 12
- 병행성
- 영속성
- 멀티쓰레드
- 그리디 알고리즘
- 렌더링 파이프라인
- Direct12
- 알고리즘
- 병행성 관련 오류
- directx
- DirectX12
- OS
- 그리디알고리즘
- 쓰레드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타입 객체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스케줄링
- 파일시스템 구현
- 컨디션 변수
- 동적계획법
- 운영체제
- 백준
- 멀티프로세서
- 락
- 자료구조
- 디자인패턴
- 프로그래머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00)
기록공간

제약 조건이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키(Key)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에 제한을 주는 것으로 개체 무결성 제약, 참조 무결성 제약 등이 해당된다. 키의 개념 및 종류 키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튜플을 찾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때 튜플들을 서로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애트리뷰트를 말한다. 키의 종류에는 후보키, 기본키, 대체키, 슈퍼키, 외래키 등이 있다. 후보키(Candidate Key) 후보키는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들 중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들의 부분집합, 즉 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을 말한다. 하나의 릴레이션내에서는 중복된 튜플들이 있을 수 없으므로 모든 릴레이션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후보키가 존재한다. 후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개체나 관계를 모두 릴레이션이라는 표로 표현 릴레이션은 개체를 표현하는 개체 릴레이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 릴레이션으로 구분 장점 : 간결하고 보기 편리하며, 다른 데이터베이스로의 변환이 용이 단점 : 성능이 다소 떨어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Relation 구조 릴레이션은 데이터들을 표의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구조를 나타내는 릴레이션 스키마와 실제 값들인 릴레이션 인스턴스로 구성된다. 튜플(Tuple) 튜플은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 튜플은 속성의 모임으로 구성 파일 구조에서 레코드와 같은 의미 튜플의 수를 카디널리티(Cardinality) 또는 기수, 대응수라고 함 속성(Attribute) 속성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관계형 데이터 모델 개요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로, 2차원적인 표를 이용해서 데이터 상호 관계를 정의하는 DB구조를 말한다. 파일 구조처럼 구성한 테이블들을 하나의 DB로 묶어서 테이블 내에 있는 속성들간의 관계를 설정하거나 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이용 기본키와 이를 참조하는 외래키로 데이터 간의 관계를 표현 계층 모델과 망 모델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시킨 모델 관계형 모델의 대표적인 언어는 SQL 1:1, 1:N, N:M 관계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음 관계형 데이터 모델의 구성 위 E-R 모델을 관계형 데이터 모델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E-R(Entity-Relationship, 개체-관계) 모델의 개요 E-R 모델은 개념적 데이터 모델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피터 첸에 의해 제안되고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정립되었다. E-R 모델은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기본 요소로 이용하여 현실 세계의 무질서한 데이터를 개념적인 논리 데이터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 E-R 모델은 개체 타입과 이들 간의 관계 타입을 이용해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표현 E-R 모델에서는 데이터를 개체, 관계, 속성으로 묘사 E-R 모델은 특정 DBMS를 고려한 것은 아님 E-R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며, 1:1, 1:N, N:M 등의 관계 유형을 제한 없이 나타낼 수 있음 최초에는 개체, 관계, 속성과 같은 개념들로 구성되었으나 나중에는 일반화 계..

식별자의 정의 및 분류 식별자는 하나의 개체 내에서 각각의 인스턴스를 유일(Unique)하게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로, 모든 개체는 한 개 이상의 식별자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 식별자는 개체 내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대표성 여부 : 주 식별자, 보조 식별자 스스로 생성 여부 : 내부 식별자, 외부 식별자 단일 속성 여부 : 단일 식별자, 복합 식별자 대체 여부 : 원조 식별자, 대리 식별자 주 식별자/보조 식별자 주 식별자(Primary Identifier)는 개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식별자 (주 식별자 4가지 특성 : 유일성, 최소성, 불변성, 존재성) 보조 식별자(Alternate Identifier)는 주 식별자를 대신하여 개체를 식별할 수 있는 속성 두 식별자 모두 개체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

관계의 정의 관계는 개체와 개체 사이의 논리적인 연결을 의미한다. 관계에는 개체 간의 관계와 속성간의 관계가 있음 관계의 형태 일 대 일(1 : 1) : 개체 집합 A의 각 원소가 개체 집합 B의 원소 한 개와 대응하는 관계 일 대 대(1 : N) : 개체 집합 A의 각 원소가 개체 집합 B의 원소 여러 개와 대응하고 있지만, 개체 집합 B의 각 원소는 개체 집합 A의 원소 한 개와 대응하는 관계 다 대 다(N : M) : 개체 집합 A의 각 원소는 개체 집합 B의 원소 여러 개와 대응하고, 개체 집합 B의 각 원소도 개체 집합 A의 원소 여러 개와 대응하는 관계 관계의 종류 관계는 처리하는 업무 형태에 따라 종속 관계, 중복 관계, 재귀 관계, 배타 관계 등이 있다. 종속 관계(Dependent Rel..

속성의 정의 및 특징 속성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파일 구조상의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 속성은 개체를 구성하는 항목 속성은 개체의 특성을 기술 속성의 수를 디그리(Degree) 또는 차수라고 함 속성의 종류 속성은 속성의 특성과 개체 구성 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속성의 특성에 따른 분류 기본 속성(Basic Attribute) 업무 분석을 통해 정의한 속성 속성 중 가장 많고 일반적 업무로부터 분석한 속성이라도 업무상 코드로 정의한 속성은 기본 속성에서 제외 설계 속성(Designed Attribute) 원래 업무상 존재하지 않고 설계 과정에서 도출해내는 속성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 외에 데이터 모델링을 위해 업무를 규칙화하려고 속성을 새로 만들거나 변형하여 ..

개체의 정의 및 특징 개체(Entity)는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려는 것으로,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 단위 같은 현실 세계의 대상체이다. 개체는 실세계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유형, 무형의 정보로서 서로 연관된 몇 개의 속성으로 구성 파일 시스템의 레코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 수행 영속적(Persistence)으로 존재하는 개체의 집합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그 자체로서도 구별이 가능 유일한 식별자(Unique Identifier)에 의해 식별이 가능 개체는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 다른 개체와 하나 이상의 관계(Relationship)가 있다. - 속성 : 개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 - 성명, 전공, 소속, 교수번호 - 개체 인스턴스 : 개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 속성들이 값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