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irectx
- I/O장치
- 멀티쓰레드
- 동적계획법
- 운영체제
- 백준
- 그리디알고리즘
- codility
- 프로그래머스
- 타입 객체
- 자료구조
- DirectX12
- 영속성
- 멀티프로세서
- 렌더링 파이프라인
- 디자인패턴
- 그리디 알고리즘
- OS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파일시스템 구현
- 컨디션 변수
- DirectX 12
- Direct12
- 병행성 관련 오류
- 알고리즘
- 락
- 병행성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쓰레드
- 스케줄링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00)
기록공간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의 정의 개요 인터페이스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기능에 대한 구현 방법을 기능별로 기술한 것이다.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순서 컴포넌트 명세서를 확인 인터페이스 명세서 확인 일관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 정의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형화 모듈 세부 설계서 모듈 세부 설계서는 모듈의 구성 요소와 세부적인 동작 등을 정의한 설계서이다. 컴포넌트 명세서 컴포넌트 명세서는 컴포넌트의 개요 및 내부 클래스의 동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명세 등을 정의한 것이다. 인터페이스 명세서 인터페이스 명세서는 컴포넌트 명세서의 항목 중 인터페이스 클래스의 세부 조건 및 기능 등을 정의한 것이다. 모듈 세부 설계서 확인 각 모듈 컴포넌트 명세서와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기반..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개요 모듈 간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표준화하는 것이다. 기존의 데이터 중에서 공통 영역을 추출하거나 어느 한 쪽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정의 확인된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은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하는데 사용 모듈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순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확인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인터페이스 표준을 확인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확인된 인터페이스 표준을 검토하여 최종적인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확인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데이터 표준을 위해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입출력 값의 의미와 데이터의 특성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 확인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각 항목을 통해 데이터 표준을 확인 인터페이스 기..

모듈 연계의 개요 모듈 연계는 내부 모듈과 외부 모듈 또는 내부 모듈 간 데이터의 교환을 위해 관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모듈 연계 방법에는 EAI와 ESB 방식이 있다.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기업 내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간의 정보 전달, 연계, 통합 등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이다.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 및 각 시스템 간의 확장성을 높여준다. 구축 유형은 다음과 같다. ESB(Enterprise Service Bus) ESB는 애플리케이션 간 연계, 데이터 변환, 웹 서비스 지원 등 표준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솔루션 애플리케이션 통합 측면에서 EAI와 유사하지만 애플리케이션 보다는 서비스 중심의..
개요 공통 기능은 모듈의 기능 중에서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을 의미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모듈 간 교환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 설계서에서 정의한 모듈의 기능을 기반으로 확인한다. 확인된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모듈 간 연계가 필요한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순서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해 모듈별 기능을 확인 외부 및 내부 모듈을 기반으로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과 각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확인 인터페이스 설계서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해 교환 데이터 및 관련 업무, 송수신 시스템 등에 대한 내용을 정의한 문서이다. 일반적인 인터페이스 설계서 ..
소스 코드 최적화 나쁜 코드(Bad Code)를 배제하고, 클린 코드(Clean Code)로 작성하는 것을 뜻한다. 클린 코드(Clean Code) :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수정 및 추가할 수 있는 단순, 명료한 코드, 즉 잘 작성된 코드 나쁜 코드(Bad Code) : 프로그램의 로직(Logic)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코드로, 코드의 로직이 서로 얽혀 있는 스파게티 코드, 동일한 처리 로직이 중복되게 작성된 코드 등이 여기에 해당 나쁜 코드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클린 코드로 수정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이 개선됨 클린 코드 작성 원칙 가독성 누구든지 코드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작성 코드 작성 시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사용하거나 들여쓰기 기능 등을 사용 단순성 코드를 간단하게 작성 한 번에..
애플리케이션 성능 사용자가 요구한 기능을 최소한의 자원을 사용하여 최대한 많은 기능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성능 측정 지표 처리량(Throughput) : 일정 시간 내에 애플리케이션이 처리하는 일의 양 응답 시간(Response Time) : 애플리케이션에 요청을 전달한 시간부터 응답이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 경과 시간(Turn Around Time) : 애플리케이션에 작업을 의뢰한 시간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린 시간 자원 사용률(Resource Usage) : 애플리케이션이 의뢰한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의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네트워크 사용량 등 자원 사용률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분석 도구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도구와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도구로 ..

결함(Fault)의 정의 결함은 오류 발생, 작동 실패 등과 같이 소프트웨어가 개발자가 설계한 것과 다르게 동작하거나 다른 결과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예상한 결과와 실행 결과 간의 차이나 업무 내용과의 불일치 등으로 인해 변경이 필요한 부분도 모두 결함에 해당된다. 결함 관리 프로세스 결함 관리 프로세스는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에서 발견된 결함을 처리하는 것으로, 처리 순서는 다음과 같다. 결함 관리 계획 :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결함 관리 일정, 인력, 업무 프로세스 등을 확보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결함 기록 : 테스터는 발견된 결함을 결함 관리 DB에 등록 결함 검토 : 테스터, 프로그램 리더, 품질 관리 담당자 등은 등록된 결함을 검토하고 결함을 수정할 개발자에게 전달 결함 수정 : ..
테스트 자동화의 개념 테스트 자동화는 사람이 반복적으로 수행하던 테스트 절차를 스크립트 형태로 구현하는 자동화 도구를 적용함으로써 쉽고 효율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테스트 자동화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휴먼 에러를 줄이고 테스트의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테스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테스트 자동화 도구의 장점 / 단점 장점 테스트 데이터의 재입력, 재구성 같은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인력 및 시간을 줄임 다중 플랫폼 호환성, 소프트웨어 구성, 기본 테스트 등 향상된 테스트 품질 보장 사용자의 요구사항 등을 일관성 있게 검증할 수 있음 테스트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기준 제공 테스트 결과를 그래프 등 다양한 표시 형태로 제공 UI가 없는 서비스도 정밀 테스트가 가능 단점 테스..